본문 바로가기

킹 오브 킹스 수혜 기대! 관련주 4종목 특징과 투자 포인트 정리

knowledgenlife 2025. 7. 25.

킹 오브 킹스로 주목받는 관련주는 어떤 기업들일까?

영화 '킹 오브 킹스'의 흥행 기대감과 함께 직접 제작에 참여하거나 관련 기술, 배급, IP 사업에 관여하는
기업들이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자이언트스텝, 덱스터, 위지윅스튜디오, 에이스토리 4개 기업이
대표적인 테마주로 떠오르고 있으며, 각사의 역할과 재무지표, 투자 포인트 등을 중심으로 종목별 분석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자이언트스텝 – IP 확장성과 실감형 콘텐츠 역량이 돋보이는 기업

자이언트스텝은 킹 오브 킹스의 핵심 제작사인 모팩스튜디오와 공동 투자 및 제작에 참여하며
IP 기반 콘텐츠 확장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주요 장면을 재현한 전시, 굿즈샵, 실감형 콘텐츠 전시
등을 통해 오프라인 부가수익 모델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는 주가 상승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2025년 5월부터 관련 이슈가 본격화되며 상승세가 관찰되었고, 모션그래픽 및 리얼타임 콘텐츠 역량은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덱스터 – 고퀄리티 VFX로 북미시장 호평, 기술력이 투자 매력

덱스터는 킹 오브 킹스의 시각특수효과를 담당한 모팩스튜디오의 주요 협력사로,
영화의 고퀄리티 VFX에 핵심적으로 기여한 기업입니다. 2024년 기준 연매출은 537억 원이지만
영업손실 89억 원, 부채비율 111.8%로 재무상 불확실성도 존재합니다. 그러나 글로벌 콘텐츠
프로젝트 다수에 참여하고 있으며, 최근 제작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는 점에서 중장기 성장 가능성은
열려 있습니다. 실적 변동성이 크므로 투자 시 리스크 분산이 필요합니다.

 


위지윅스튜디오 – 언리얼 기반 기술력과 북미시장 검증 완료

위지윅스튜디오는 언리얼 엔진 기반의 리얼타임 애니메이션 제작을 통해
기술적 신뢰성을 인정받았으며, 북미 개봉 준비 단계에서 관련 기술이 정식 채택되었습니다.
다만 2025년 1분기 기준 영업이익률 –14.7%, 순이익률 –75%로 실적 적자 흐름이 지속 중입니다.
2025년 7월 기준 공매도 비중이 15.7%까지 올라간 점은 외국인 및 기관 투자자의 매도 신호로
해석될 수 있어 단기 리스크 요인입니다.

 

지표 수치 (2025년 1분기 기준)
영업이익률 –14.7%
순이익률 –75.0%

 

하지만 기술기반 콘텐츠 기업으로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 확대는
긍정적인 중장기 신호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에이스토리 – 배급부터 굿즈까지, IP 유통에 강점

에이스토리는 킹 오브 킹스의 국내 배급 및 마케팅에 직접 관여하며
콘텐츠 유통 분야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특히 부가 콘텐츠 제작, 전시,
굿즈샵 등 IP를 활용한 오프라인 사업 확장도 병행하고 있어 콘텐츠 산업 전반의
수혜주로 주목됩니다. 코스닥 상장 방송제작사로 안정적 포지션을 확보하고 있으며,
글로벌 플랫폼과의 연계가 강화될 경우 추가적 매출 확대도 기대됩니다.

 


종목별 관련성 한눈에 보기

기업명  관련성  참여 분야
자이언트스텝 공동 제작 및 IP 전시사업 제작/부가 콘텐츠
덱스터 시각효과 협력사 VFX/특수효과
위지윅스튜디오 기술파트너 (언리얼 기반) CG/VFX 기술력
에이스토리 배급 및 굿즈 사업 참여 배급/부가 콘텐츠

 


투자 전략 핵심 체크포인트는?

  1. 직접 참여 정도: 단순 수혜보다 공동 제작 등 실질적 참여도를
    파악해야 IP 확장성 수익이 기대됩니다.
  2. 재무 건전성 확인: 적자 흐름인 기업은 중장기 투자 시
    위험관리 전략 필수입니다.
  3. 시장 확장성: 킹 오브 킹스의 북미 흥행 흐름과
    콘텐츠의 부가사업 전개 속도에 따라 추가 모멘텀 여부가 결정됩니다.
  4. 리스크 분산: 테마주 특성상 단기 급등락이 심하므로
    포트폴리오 내 비중 조절이 필요합니다.


마무리 분석 – 킹 오브 킹스 테마주는 중장기 시각에서

킹 오브 킹스는 단순한 영화 제작을 넘어 부가사업과 기술 협력,
IP 유통까지 아우르는 콘텐츠 생태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직접 제작과 배급에 참여한 기업뿐만 아니라 기술력과 유통망을 보유한
기업들도 테마주로서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이는 중장기 관점에서
분산 투자 전략과 함께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