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올해만 100조 수익…삼성전자 1147만주 ‘통큰 매수’

국내 증시 상승에 힘입어 국민연금 투자 수익률 역대급…삼성전자 등 대형주 중심 집중 매수
국민연금이 국내외 주식 시장의 반등에 힘입어 올해에만 100조 원 이상의 수익을 올렸다는 소식입니다. 특히 국내 주식 수익률이 36%를 넘기며 전체 포트폴리오에서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했고,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한 대형주 위주의 매수 전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올해 국민연금의 투자 성과와 주요 보유 종목을 중심으로 그 배경을 살펴봅니다.
국내 증시 활황…국민연금, 8개월 만에 100조 수익

2025년 8월 말 기준, 국민연금의 연간 운용 수익률은 8.22%를 기록하며 잠정 수익금이 100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이는 최근 3년간 수익의 절반을 단 8개월 만에 벌어들인 수치로, 이례적인 성과로 평가됩니다.
이 같은 실적은 국내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연이어 경신한 데 따른 평가이익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자산별 수익률 비교…국내주식 독보적
국민연금 자산별 수익률을 보면 국내 주식이 단연 눈에 띕니다.
| 자산 종류 | 연환산 수익률 |
| 국내 주식 | 36.43% |
| 해외 주식 | 8.61% |
| 국내 채권 | 3.71% |
| 해외 채권 | -0.92% |
| 대체 투자 | 0.13% |
특히 지난해 -6.94% 손실을 기록했던 국내 주식 부문이 올해 36%대 수익을 올리며 급반등한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국민연금 포트폴리오에서 국내주식 비중 증가
올해 들어 국민연금의 국내주식 비중은 11.5%에서 14.8%로 상승했습니다.
금액으로는 196.3조 원 규모이며, 코스피 상승 흐름에 따라 향후 15%를 넘어섰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옵니다.
해외 주식도 소폭 상승해 전체 포트폴리오의 36.8%를 차지했습니다.
삼성전자 1147만주 대량 매수
국민연금이 가장 많이 보유한 국내 주식은 단연 삼성전자입니다.
지난해 말 대비 3개월 만에 무려 1147만2654주를 추가 매수하면서 대형주 중심의 투자 전략을 확고히 했습니다.
이 외에도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삼성바이오로직스, 현대차 등 안정성과 성장성을 겸비한 기업들이 상위권에 포진해 있습니다.
국내 보유 종목 상위 20 리스트 공개
| 순위 | 종목명 | 주요 산업 분야 |
| 1 | 삼성전자 | 반도체 |
| 2 | SK하이닉스 | 반도체 |
| 3 | LG에너지솔루션 | 2차전지 |
| 4 | 삼성바이오로직스 | 바이오제약 |
| 5 | 현대차 | 자동차 |
| 6~20 | NAVER, 기아, KB금융, 셀트리온, 현대모비스 등 | 다양한 분야 |
대부분이 시가총액 상위 기업이며, 시장의 변동성에도 비교적 강한 내성을 가진 종목들입니다.
해외 주식 1위는 애플…빅테크 중심 구성
국민연금이 가장 많이 보유한 해외 주식은 애플이며, 그 뒤를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아마존, 메타, 알파벳이 잇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트렌드를 반영한 안정적이면서도 성장성 높은 포트폴리오 구성이며, 미국 빅테크에 대한 국민연금의 신뢰를 보여주는 지표로 볼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기금 고갈 시점, 수익률 따라 최대 2071년까지 연장 가능
기금 운용 수익률이 연금 재정에도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올해 3월 기준 연금 개혁 이후 기금 고갈 시점이 기존 2056년에서 2064년으로 늦춰졌습니다.
만약 기금운용 수익률을 5.5%로 유지할 경우, 고갈 시점을 2071년까지 늦출 수 있다는 분석도 나왔습니다.
향후 투자 방향은? 안정성과 수익성 ‘두 마리 토끼’ 전략
국민연금은 앞으로도 대형 우량주 중심의 안정적인 투자 전략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시장 변동성에 대비한 분산투자와 장기적 관점의 포트폴리오 재편 역시 병행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 친환경 에너지, 바이오 분야에 대한 선제적 대응도 관심 있게 지켜봐야 할 부분입니다.


'경제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한미 동맹의 대변화: 트럼프 대통령, 한국 핵잠수함 건조 공식 승인 (0) | 2025.10.30 |
|---|---|
| 2025 한미 관세 협상 극적 타결: 한국 경제 핵심 파장 분석 (0) | 2025.10.30 |
| 캄보디아 ODA, 한국인 납치 사건 이후 중대 기로에 서다 (1) | 2025.10.16 |
| ODA란? 예산 축소 논의의 배경과 향후 전망 (1) | 2025.10.16 |
| 금산분리 완화 논쟁, AI 시대에 필요한 변화일까? (0) | 2025.10.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