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금융지주 주가, 2025년 하반기 어디까지 갈까?
디지털타워 매각 이익과 배당 확대가 주가 상승을 이끌까?
BNK금융지주(부산은행 모회사)의 주가는 2024년 하반기부터 2025년 7월까지 강세 흐름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디지털타워 매각에 따른 이익, 자본 건전성 개선, 배당 확대 기대감이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으나, 대출 연체율 증가와 경기 둔화 우려는 여전히 주가 변동성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근 주가 흐름과 펀더멘털, 증권사 리포트를 바탕으로 2025년 하반기 BNK금융지주의 주가 전망과 투자 전략을 짚어보겠습니다.
최근 주가 추이, 외국인 매수세가 강한 이유
2024년 7월 24일 대비 2025년 7월 24일까지 BNK금융지주의 주가는 약 87% 상승했습니다.
저점 8,500원대에서 고점 15,950원까지 급등하며 연간 수익률은 79.09%를 기록했는데요.
외국인 지분율이 39.63%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점도 눈여겨볼 만합니다.
기술적으로는 단기·장기 이동평균선 모두에서 매수 시그널이 나타나고 있으며
지지선은 13,265원과 11,760원으로 분석됩니다.
증권사 목표주가와 의견은 ‘매수’로 일치
대부분의 증권사가 BNK금융지주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목표주가는 다음과 같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증권사 | 투자의견 | 목표주가 | 조정폭 | 비고 |
키움증권 | 매수 | 15,000원 | ↓6.7% | 이익 전망 하향 반영 |
SK증권 | 매수 | 14,000원 | ↑27.3% | CET1 개선·RWA 관리 호평 |
하나증권 | 매수 | 14,000원 | 유지 | 3Q 순익 3,100억 초과 예상 |
대신증권 | 매수 | 13,000원 | ↑18% | NIM 및 대손비용 개선 반영 |
NH투자증권 | 매수 | 14,200원 | ↑10% | ROE 상향 조정 및 배당 기대 |
대부분의 분석기관들이 실적 모멘텀과 자본 건전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13,000원~15,000원의 목표주가 밴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디지털타워 매각 효과, 3분기 실적 기대감 'UP'
BNK금융지주의 최대 호재 중 하나는 약 4,600억 원 규모의 디지털타워 매각 이익입니다.
이는 2025년 3분기 실적에 반영되며, 순이익이 3,100억 원을 초과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외에도 대손비용률은 0.69%로 전 분기 대비 25bp 개선되었고
순이자마진(NIM)은 2bp 상승해 이자이익 증가 요인이 존재합니다.
CET1 비율도 2분기 12.2%, 3분기 12.3%로 양호한 수준입니다.
배당 확대와 자사주 매입, 주주환원 강화
2024년 BNK금융지주는 총 주주환원율 32.1%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분기배당 도입과 상반기 중 4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은
주가 상승 기대감뿐 아니라 장기 투자자들에게 안정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배당 관련 핵심 지표입니다.
항목 | 수치 |
총 주주환원율 | 32.1% |
자사주 매입 | 400억 원 |
분기 배당 | 도입 완료 |
이처럼 주주환원 정책은 BNK금융지주의 투자 매력을 높이는 주요 요소입니다.
리스크 요인: 연체율 상승과 경기 둔화
가장 큰 리스크는 대출 연체율 상승입니다.
지방은행 특성상 지역 경기 민감도가 높고,
부산·경남권 중소기업 중심 대출 구조는 불황기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준금리 인하 시 이자수익 감소와 대출 수요 위축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와 함께 카카오뱅크 등 비대면 금융 플랫폼과의 경쟁 심화도 우려 요인입니다.
단기 vs 중장기 전략, 어떻게 접근할까?
단기적으로는 디지털타워 매각 이익과 3분기 실적 발표가 주가를 견인할 전망입니다.
단기 목표주가는 15,000원 내외로 보고 있으며,
단기 고점 형성 후 일부 차익실현 구간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안정적인 자본비율과 배당 확대 정책,
지방 밀착형 금융 네트워크 등 BNK금융의 강점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중장기 목표가로는 상단 15,000원, 하단 지지선 13,000원~11,700원을 설정하고
분할 매수 전략이 적절해 보입니다.
결론: 실적 개선과 주주정책이 주가 향방의 핵심
BNK금융지주는 2025년 하반기 들어 확실한 실적 반등과 배당 확대,
자본 건전성 회복으로 긍정적인 투자 매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다만 외부 환경 변수로 인한 조정 가능성도 열어둬야 하며
보수적인 시각에서 분할 매수 전략과 리스크 관리가 중요합니다.
'종목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자동차 주가, 관세 리스크 넘고 25만 원 갈까? (0) | 2025.07.24 |
---|---|
삼천당제약 주가, 5조 클럽 진입 후 어디까지 갈까? (0) | 2025.07.24 |
포스코홀딩스 주가, 철강 넘어 리튬까지… 향후 주가는 어디로? (1) | 2025.07.14 |
우리기술투자 주가, 저평가 된 신기술 벤처투자 강자! 주가 어디까지 오를까? (0) | 2025.07.14 |
한화솔루션 주가, 저평가된 태양광·화학 강자의 미래 주가전망은? (0) | 2025.07.14 |
댓글